top of page

선과 선 사이, 팽창하는 마음

김지연, 2021

반복은 의지의 행위다. 운동이나 기술을 훈련 또는 수련하는 사람은 미세하게 다른 환경과 우연의 가능성을 긍정하며 같은 동작에도 매번 다른 힘의 모양을 담아 본다. 그 속에서 자신만의 제한된 구조와 규칙을 만들며 균형을 잡아 나간다. 여기서 반복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경험하며 몸에 새기는, 무엇보다 의지적인 행위다.

반복되는 연습을 지루하게 거듭하던 어느 날 실력이 훌쩍 늘어나는 경험을 누구나 해 보았을 것이다. 당장은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이미 몸과 정신을 통과한 경험은 사라지지 않고 남아 과거와의 차이를 만든다. 차이가 겹겹이 쌓여 보이지 않는 형태를 구성하고 어느 날 눈에 드러나는 실체가 된다. 반복 행위란, 과거가 쌓인 곳에서 현재를 감각하며 미래를 변화시키려는 시도이며, 이것은 강박적인 복제가 아니라 의지적 재생산이다. 반복하는 행위의 간격마다 미래를 향한 잠재력이 숨어 있다.

그리는 행위도 같다. 작가는 현실의 제약과 스스로 만든 제한적 규칙을 가지고 손을 움직이며, 이 행위에는 과거로부터 쌓인 연습의 경험이 담겨 있다. 행위의 흔적은 우연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품은 채 완성된 작품, 마주할 관객, 변화시킬 세계를 찾아 미래로 흐른다. 이 경우 무한한 선택지가 곧바로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제약과 제한 속에 있을 때 작가는 자유로울 수 있다. 빌렘 플루서는 『몸짓들』(2018)에서, 이러한 ‘그리기의 몸짓’ 속에 있을 때 작가는 자유를 가진 것이 아니라 자유 속에 있으며, 자유 속에 있다는 것은 참으로 거기 있다는 뜻이라고 했다. 그러니까 과거로부터 미래로 흐르는 그리는 행위 안에서 작가는 실재한다. 지근욱 작가가 그려내는 선 앞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다.

 

지근욱 작가의 세계는 입자의 움직임에서 시작되었다. 물리학에서 설명하는 우리의 세계는 보이는 것과는 다르다. 세상을 이루는 모든 것은 동등한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가 눈으로 보지 못하는 공기나 바람도, 심지어 은하와 은하 사이의 전자기장까지도 마찬가지다. 입자들은 각자의 규칙으로 진동하며 둥둥 떠다니다가 서로 부딪혀 상호작용할 때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니까 우리의 우주는 입자들로 가득 찬 거대한 확률의 바다이며, 이 진동하는 바다는 수백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다.

작가는 바로 이렇게 눈으로 보는 표면을 한 꺼풀 벗겨내고, 비어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가득 찬 세계를 그려왔다. 모든 존재가 동등한 입자로 만들어진 우주처럼, 이곳에서는 모든 것이 동등하게 선과 방향으로 치환된다. 그의 세계에서는 우리의 개별 존재 역시 오로지 선이다. 그렇게 치환된 화면에서 오히려 명징하게 비춘 세계를 본다. 여기서, 그리는 몸짓 안에 미래까지 담겨 있다던 빌렘 플루서의 말을 되새겨 본다. 작가가 긋는 선과 긋는 행위는 어떤 미래로 향하는 것일까, 그 세계는 어디로 팽창하고 있을까.

작가의 선 긋기는, 겉보기에는 입자의 세계를 표현하며 추상에 닿으려는 반복적 수행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선을 하나하나 긋는 행위는 결국 의미를 생성하고 자신이 본 세계를 눈에 보이게 드러내며 어딘가에 닿으려는 노력과 시도다. 그는 마치 입자가 각자의 규칙으로 움직이다가 우연히 만나 상호작용하며 모습을 드러내듯, 자신이 만든 제한 속에서 무수한 선을 그으며 캔버스 밖의 세계에 닿기 위한 언어를 만든다. 상호작용은 결국 관계이며 그림은 누군가의 언어다. 그의 움직임은 이 그림을 보는 당신에게 자신의 언어로 닿기 위한 훈련이다. 

 

반복해서 긋는 행위는 화면 위의 선은 물론 작가의 신체에 기록된다. 매번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안고, 그러나 숨을 가다듬고 균형을 잡으며 그어낸 가느다란 선들의 반복된 경험은 작가의 손에서, 화면 속에서 결국 잠재력을 가진다. 우리가 몸의 운동능력을 높이기 위해 매번 새로운 훈련으로 한계에 도전해 이를 넘어서야 하는 것처럼,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평온을 깨뜨리는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선은 시도인 동시에 파괴이자 균열이다. 작가는 젯소를 칠하고 갈아내기를 반복하여 매끈하게 정돈한 화면 위에서, 색연필과 자라는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도구를 손에 들고, 매번 새로운 마음을 담은 선을 그음으로써 자신이 있는 자리에 균열을 가한다. 불규칙 속 규칙을 쌓는다. 그렇게 부서진 틈에서 다시 새로운 것이 생성한다.

작가는 신작에서 입체를 펼쳐낸 형태를 통해 자신이 아는 사각형에서 더욱 벗어나 보겠다는 듯, 훨씬 다양한 형상의 언어를 시도한다. 새로운 형태에서는 유난히 짧은 선이 돋보이는데, 짧은 선을 더 많이 긋는 행위는 어쩌면 더 많은 실패를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실제로 작가는 짧은 선이 긴 선보다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했다. 그러나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을 수행하며 더 단단한 화면을 만들어낸 경험의 잔상은 작가의 손과 화면에 그대로 남는다.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다시금 다가서는 시도가 하나의 서사를 이루는 것처럼, 작가가 거듭한 선의 흔적은 관계를 쌓아내고 축적된 관계는 화면의 규칙과 형태를 구성하며 점차 팽창하는 세계를 이룬다. 보이지는 않지만 작가가 매번 한계까지 몰아붙여 만들어낸 고유의 세계다. 작가는 선을 그으며, 독립된 움직임이 우연히 떨구어내는 색의 부스러기와 함께 우리를 자신이 만든 세계의 가장자리로 데려간다. 이는 그가 그은 선처럼, 은유적이지만 동시에 끈질기게 반복하며 다가서는 방식이다.

그래서 나는 이 단정한 선의 간격에서 뜨거운 감각을 느낀다. 정제된 표면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사람이 보인다. 색연필이 묻어난 정도의 미세한 차이와 선 주위로 흩어진 색연필 가루를 보며 캔버스와 색연필 심이 마찰하는 열기를 상상한다. 작품만 눈앞에 두고도 작가의 에너지가 느껴지는 이유다. 우리는 모두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선과 선 사이처럼 작가와 작품, 우리의 사이도 입자로 가득 차 있다. 서로 마주칠 확률을 안고 진동하고 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우리는 이만큼의 언어로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리학자 김상욱은 『떨림과 울림』(2018)에서 ‘우주는 떨림으로 가득 차 있다’고 했다. 입자의 ‘진동’을 ‘떨림’이라는 단어로 바꾼 것만으로도 우주는 마음을 울리는 낭만적인 장소가 된다. 이처럼 지근욱 작가의 세계에 진동보다는 떨림이라는 아날로그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싶다. 떨림의 흔적을 무수한 선으로 표현한 작품 앞에서, 이 선들이 통과한 경험들을 생각한다. 한 번 통과한 것들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분명한 자리를 만든다. 작가가 만든 경험의 잔상은 자신의 세계를 넘어 멀리, 더 멀리 팽창하려는 도전과 고유의 언어로 타인에게 닿고자 하는 희망을 함축한다. 우리는 그 팽창하는 세계의 가장자리에서 만나 상호작용하고 눈에 보이는 세계를 생성한다. 그의 작품이 옵아트의 시각적 환영을 넘어서는 지점은 바로 이 과정의 잠재력이다.

추상에서 낭만성이 돋보이는 지점은 정제된 언어와 규칙 속에서 노래하는 시의 아름다움과 같다. 눈에 띄게 드러내지 않는 것에서 각자 찾아내는 심상처럼, 관객도 작가의 규칙으로 이루어진 조형 언어 속에서 상상과 확장을 경험할 수 있다. 작가의 몫은 타인과 자신 사이에 균열을 일으키고 자신만의 언어를 전달하는 일이다. 모든 균열마다 생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도는 항상 실패의 가능성도 동반한다. 그러나 지근욱 작가가 성실하게 화면에 남긴 떨림의 흔적, 즉 촘촘한 선의 간격 사이에서 선을 그으며 닿으려고 할 때마다 매번 실패할 가능성조차 끌어안아 보겠다는 의지를 본다. 화면 밖의 세계와 맞닿아 울리는 그곳까지 팽창하는 마음이 거기에 있다. 우리에게 실제로 보이진 않지만, 작품 뒤의 그리는 몸짓 속에서 작가는 참으로 거기 있다.

그래서 여기, 머나먼 것처럼 보이는 우주와 물리학의 세계, 혹은 섬세한 간격의 선들이 반복하며 이루어진 단단한 수행의 세계 앞에서 나는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닿고 싶은 사람을 생각한다. 우리가 만나지 못하더라도 혹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이 세계에 가득한 입자와 그 입자를 타고 흐르는 떨림으로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고, 지금은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화면을 넘어 팽창하는 세계처럼 우리의 세계 또한 서로 닿고 엮이고 마침내 새롭게 생성될 것이라고 말이다.

Between a line and a line, the mind expands

Kim Jiyeon, 2021

Repetition is an act of will. An individual who trains in sports or practices technology acknowledges the subtly different settings and possibilities of coincidence, embodying different shapes of force in the same motion. Within it, one constructs limited structures and rules, finding balance. Here, repetition is, most of all, an act of will that experiences and engraves the world onto one’s body. 

Waking up with improved abilities after tedious recurrence of repeated practices is an experience that each and every one of us has had. Although nothing seems to change at first, the experience that passes through one’s body and soul lingers around, making a difference with the past. Such differences layer upon one another and compose an invisible form, which one day becomes a visible reality. An act of repetition is an attempt to change the future, by sensing the present at the point where the past is layered. Such is not an obsessive replication, but a willing recreation. In the interval between these repeating acts, the potential for the future lies hidden.

The act of drawing is the same. The artist moves one’s hand within the constraints of reality and self-imposed limitations, and such an act holds the experience of practices, layered from the past. The traces of this act – embracing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coincidence – flow into the future, searching for the completed artwork, viewers to be encountered, and a world to be changed. In this instance, these indefinite options do not immediately refer to freedom. Rather, the artist can find freedom within his constraints and limitations. Vilém Flusser, in Gestures (2018), said that “the painter does not have freedom, he is in it, for he is in the gesture of painting,” and to be in freedom is to be truly within. Thus, in the act of drawing, which flows from the past to the future, the artist is present. Such is the story I want to tell in front of the lines drawn by the artist Ji Keunwook.

Ji’s artistic worldview began with the movement of particles. Our world, as explained by physics, is different from what we see. Everything that makes up the world is composed of equal little particles: the air and wind, and even the electro-magnetic fields in between galaxies. Each particle, according to its own rules, vibrates and floats around, revealing itself only when it collides and interacts with other particles. In other words, our universe is an ocean of grand possibilities filled with particles, and this vibrating ocean continues to expand, as it has been doing for millions of years.

Such is how the artist peels off the surface of the world that we see through our eyes, drawing one that is abundant, despite being seemingly void. Like the universe, in which all beings are composed of equal particles, in this place, everything is equally replaced by the lines and directions. In his world, our individual existences are only lines, too. In such an alternate picture screen, I see the world rather clearly reflected. Here, I ruminate on Vilém Flusser’s words that even the future is embedded within the gesture of drawing. What kind of future is the artist’s lines and his act of making them heading towards? Where is that world expanding to?

On the surface level, the artist’s making of lines is a repetitive performance expressing the world of particles, aiming to reach the abstract. On the other hand, the act of drawing lines, one by one, eventually becomes an effort and an attempt: to create meaning, visualise the world seen by oneself, and reach somewhere. Like how particles are made visible through coincidental interactions – after moving accordingly to each of their rules – the artist draws countless lines within his self-imposed limitations, fabricating a language to reach the world outside the canvas. Interaction is, after all, a relationship. And drawing is a language of someone’s. His gesture of drawing is thus a way of ‘training’ to reach you, the viewer, with his own language.

 

The repetitive act of drawing is not only recorded through the lines on the canvas, but also on the artist’s body. Despite the fear of failure, the repeated experience – of drawing thin lines by holding one’s breath and keeping one’s balance – becomes potent within the artist’s hands and the picture screen. As we have to challenge and overcome our limitations through new ways of training so as to improve the body’s motor abilities, peace has to be broken in order to trigger our potential. The line, thus, is an attempt, yet a destruction and fracture. Upon a smooth picture screen repeatedly painted over with gesso and then sanded, the artist holds a colour pencil and a ruler – both quite ‘analogue’ materials – to draw lines. He makes each line with a new mindset, creating a fracture where he stands. The artist builds regularity within the irregularity of this process. And that is how new things are created within the cracks.

The artist,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forms unfolding in his new artwork, attempts the language of various figurations as if to escape from his preconceived knowledge of rectangles. The particularly short lines stand out in such a new form, and the act of drawing more short lines may refer to greater chances of experiencing failure. The artist actually said that short lines require much more time to be drawn than long lines. Still, the afterimage of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the intervals between lines and creating a toughened picture screen is left imprinted on the artist’s hands and the picture screen.

As the attempt of approach – regardless of the repeated failures – creates one narrative, the traces of the artist’s repeated lines forge a relationship, and such accumulated relationships organise the pictorial rules and forms of an expanding world. Although invisible, it is an intrinsic world created by the artist’s every attempt to push the limits. The artist draws a line – and with the residual traces of coloured powders unpredictably deposited through this independent movement – takes us to the edge of the world of his own creation. Like his lines, it is a way of approach that is metaphorical, yet created through persistent repetition.

Therefore, I sense the heat between the intervals of such neat lines. Only when the refined surface of the canvas is observed in proximity can the individual lines be seen. Looking at the minute differences between the colour pencil smudges and their residual powders spread around the lines, I imagine the heat of friction between the canvas and the lead of these pencils. That is why the artist’s energy can be felt just by seeing the artwork in front of one’s eyes. We are all made up of particles, and like the interval between the lines, the interval between the artist, artwork, and us is filled with such particles. Vibrating, with the possibility of encounter. Seen through this perspective, we too can be connected via this language.

 

In his book Tremor and Resonance (2018), the physicist Kim Sangwook said that ‘the universe is filled with tremors.’ In using the word ‘tremor’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descriptor of ‘vibration’ to explain particle movement, the universe becomes a romantic space of resonance. As such, I want to use the ‘analogue’ word of tremor instead of vibration in discussing Ji’s artistic world. In front of the artwork expressing the traces of tremors through countless lines, I think of the implied experience of these lines passing through. The ones that have passed through do not easily fade away, but permanently inscribe themselves. The artist’s creation of the afterimage of these experiences connotes the hope of reaching out to others, through the attempt to expand beyond one’s own world and the use of his intrinsic language. We meet at the edge of such an expanding world, interacting, and creating a world visible to the eyes. The point where Ji’s artwork goes beyond the optical illusions of Op Art reveals the potential of this process.

The point where the sense of romance stands out within the abstract is like the beauty of a poem that sings within the refined language and rules of its genre. Like the imagery found within the inconspicuous, the viewers can also experience a sense of imagination and expansion within the formative language composed within the artist’s rules. The role of the artist is to create fracture between the other and himself, and to deliver his own language. Not all fractures connect to creation. An attempt is always accompanied by the possibility of failure. Yet, I see the sincere traces of tremors left by Ji. That, is the will to embrace each and every possibility of failure in making and touching the lines in between the dense intervals. Even as far as the place resonating with the world outside of the picture screen, the expansive minds live. Although invisible to us, the artist is truly present within the gesture of drawing behind the artworks.

So here, in this seemingly distant world of the universe and physics, or the world of persistent performance grounded in the repetition of the intricate interval of lines, I, ironically, think of the person whom I want to reach the most. That, despite the fact we cannot meet or are far from each other, we are connected through these particles and the tremors flowing through them. Despite the impossibility of it happening in the present, our worlds will eventually reach each other, intertwine, and finally be created anew like the world expanding beyond the picture screen.

Translated by Lim Hannuri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