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드보일드 브리즈: 단단하게 여울지는

박미란, 2023

지근욱의 화면 위 서로 다른 두 세상이 포개어진다. 연무처럼 모호한 원경의 색채와 또렷이 드러나는 근경의 선분들이 마주 닿는다. 가까웠다 멀어지는 몸의 움직임으로 회화를 본다. 가라앉는 선과 떠오르는 선의 층위는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고, 뒤엉킬 듯 가지런히 나누어진다. 선분의 영역에 눈을 디딘다. 색연필은 안개 짙은 화면 위를 가로지르며 정제된 선을 거듭 긋는다. 지나가는 손의 그림자 곁에 색색의 파편이 내려앉는다.

 

선들이 자아내는 환영이 단단하게 여울진다. 지극히 하드보일드한 외양 뒤에 더없이 감정적인 바람을 숨긴 것처럼. 스러지지 않을 만큼 단단하게, 얼어붙지 않을 만큼 유연하게 자신의 길을 나아가는 바람을 생각한다. 다부진 듯 온유한 선, 무정한 듯 세심한 그리기의 시간이 화면에 나란히 축적된다. 엷은 안개를 고운 빗으로 쓰다듬듯이, 그로써 빛을 머금은 공기의 색채를 떠 올리듯이.


 

색채를 감각하며

한 무리 색채가 화면을 잠식한다. 화폭에 서린 연무는 작가의 그리기를 위하여 한 걸음 뒤로 물러선 채다. 촘촘히 건져올린 색선들이 얼마간 그 배경의 색을 닮았다. 바라봄은 세상의 빛깔 사이 닮음을 깨닫는 과정이다. 모든 장면에 깃든 색조 가운데 다름을 분별해 내는 일이기도 하다. 안개의 속내를 탐구하는 작가의 시선을 가늠해 본다. 매번 낯선 관점으로 다른 빛무리를 건져올리는 연습의 반복을 유념하면서. 

 

<임시의 테 Inter-rim>(2023) 연작의 화면은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선의 반복을 선보인다. 둥근 호의 형상은 보이지 않는 항성의 거대한 중력을 상상하도록 이끈다. 화면마다 주어진 자의 모양이 수평적 파장의 크기를 결정짓는다. 선분은 안개를 화면 아래로 밀어내거나 위로 끌어당기며 수직적 파동의 높낮이를 조율한다. 상상된 중력장 위에 스민 빛들이 안료의 몸을 빌어 화면에 안착한다. 색색의 티끌이 모여 선분이 되고, 또 안개가 된다.

 

같은 빛이 드리운 개별 화면은 하나의 대상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의 중첩을 연상시킨다. 뒤편의 자욱한 망점을 보며 선분의 내밀한 부스러기를 상상한다. 전면의 세밀한 선들로부터 우주 속 별들의 성운을 떠올려 본다. 초점의 조율에 따라 안개는 선의 미시세계로, 선은 안개의 거시적 장면으로 탈바꿈한다. 크고 작은 선들은 다채롭게 관계 맺으며 저마다 고유한 화면을 이루어 낸다.

 

선분을 바라보며

점에서 선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은 그리기의 처음을 알리는 몸짓이다. 지근욱은 그 최초의 내디딤에 부단히 집중하여 화면을 메워나간다. 선들은 그리는 이의 반복적 수행을 암시하는 한편 보는 이로 하여금 세부의 다름을 대조하도록 만든다. 바라봄의 감각을 변주하는 연습이다. 그림의 중력, 가상의 부피를 고민하는 여정 가운데 낯선 세상과 공명하고자 하는 그만의 방식이다. 

 

<상호-파동 Inter-wave>(2023) 연작에서 선들은 물결처럼 굽이친다. 회화의 시공간에 작용하는 중력이 실랑이하듯 서로를 밀고 당긴다. 곡선이 안개와 맞닿는 자리마다 시야의 번짐이 생겨난다. 둘 중 무엇에도 온전히 속하지 않는 새로운 존재로서의 착시다. 하나의 존재와 또 다른 존재의 만남은 세 번째 존재인 관계성을 탄생시킨다. 화면은 바라봄의 거리에 따라 매번 다른 시각 세계를 드러낸다. 바닥 면의 구조는 화면에 가까이 다가설수록 흐릿해지며 더 멀리 물러날수록 선명해진다. 

 

복수의 캔버스로 구성된 작품들은 서로 간 일정한 간격을 띄운 형태로서 설치된다. 파동은 화면 사이 공백을 유예한 채 이어지는 모양새다. 선과 동행하는 시선은 벽면을 드러내는 여백마다 쉬었다 간다. 보는 이의 감각도 수차례의 구간으로 분배된다. 빈자리를 채우는 것은 현실의 공기다. 물성을 지닌 회화는 필연적으로 지금 이곳의 시공간에 거주하며 전시장의 하얀 벽면으로 하여금 보다 특수한 여백이 되도록 한다. 흘러가다 끊어지는 물결의 자리마다 다양한 정서의 백색 소음이 스민다. 눈의 깜박임 사이 끝없이 휘발하는 순간들처럼, 그 찰나에 파고드는 감각들처럼.

 

화면을 마주하며

 

회화는 자신이 자리 잡은 공간의 규모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목격된다.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만큼이나 화면 자체의 형태와 면적에 따라서도 바라봄의 경험이 달라진다. <교차-형태 Inter-shape>(2023) 연작에서 개별 화면은 수직 수평의 직선을 팽팽하게 교차시키며 긴장감을 이끌어낸다. 각각의 캔버스 모양을 다채롭게 변주한 점으로부터 정형화된 사각 틀에서 벗어나고자 한 시도가 돋보인다. 

 

보통의 모양에서 벗어난 캔버스들은 평소와 다른 보기의 방식을 제안한다. <교차-형태(복사) Inter-shape (Radiation)>(2023)는 열다섯 점 캔버스를 하나의 형태로 조합한 작품이다. 타원형 윤곽에 알맞도록 개별 캔버스의 가장자리를 곡선으로 가공한 후 배열했다. 서로 다른 크기로 휘어진 변의 곡률에 따라서 화면을 대하는 시야의 향방이 유동적으로 변한다. 사각형 화면 위에 그은 곡선이 그림 내부의 율동을 감각하도록 한다면, 둥글게 휜 변형 캔버스 위에 그은 직선은 실재하는 장소와 그림 사이 일어나는 관계의 운율을 상상하도록 돕는다.

 

<교차-형태(충돌기) Inter-shape (Collider)>(2023)에서는 열여섯 개 사다리꼴 캔버스가 모여 하나의 커다란 팔각형을 이룬다. 개별 화면들은 약속된 위치에 놓임으로써 보다 큰 도형의 일부가 된다. 전체는 늘 부분의 단순한 합 이상의 가능성을 포괄한다. 첫 번째 존재와 두 번째 존재가 만날 때 생성되는 관계의 힘은 언제나 하나의 개체가 지닌 본연의 정체성 너머 새로운 역동성을 일깨운다. 캔버스들이 만들어 낸 팔각 구조의 중심부에서 다시금 팔각형의 여백이 태어난다. 낯선 형태의 화면들은 회화 바깥세상의 벽면에 생경한 빈칸을 만들어낸다. 화면과 화면 사이 기다란 공백들이 현실의 시공에 무언의 선을 새긴다.

 

몸을 숙여 수평면 위에서 그린 그림은 줄곧 수직 벽면에 오를 내일을 의식한다. 스스로의 내면세계에 응집된 시선을 외부 세상을 대하는 방향으로 일으키는 일이다. 회화의 몸은 그것을 바라보는 몸과 고유하고 내밀하게 관계 맺는다. 지난한 회화의 여정 속에서 선분에 눌러 담은 감정의 색채를 유심히 본다. 올곧은 몸짓이 긋고 간 자리에 남은 색연필 가루의 온난함을, 손으로 그린 회화의 끈기 어린 시간을. 단단하게 여울지는 선분의 세상, 그곳의 울림에 문득 귀 기울인다. 마음은 때로 일렁이고, 때로 가라앉는다.

Hardboiled Breeze: Firmly Yet Fluidly 

Park Miran, 2023

Two distinct worlds overlap on JI Keun Wook’s picture screen. Like a misty haze, the vague colors of the distant background converge with the defined lines of the near foreground. I look at the painting through the body’s movement – approaching and receding. The layers of sinking and emerging lines fluctuate, transitioning from multiplicity to unity and then meticulously demarcating on the verge of entanglement. I set my eyes on the territory of lines. The colored pencil traverses the hazy picture screen, repeatedly tracing refined strokes. The colorful fragments settle alongside the passing hand’s shadow. 

 

The apparition of the lines oscillates, firmly yet fluidly,  as if concealing an emotional breeze behind its immensely hardboiled exterior. I imagine the breeze that makes its way firm enough not to falter and yet flexible enough not to freeze. The sturdy yet serene lines and the seemingly nonchalant yet meticulous moments of drawing accumulate on the picture screen. As if delicately brushing a faint mist with a fine brush, evoking the colors of light-soaked air. 

 

Sensing Colors 

 

A cluster of colors engulfs the picture screen, while the misty haze has taken a step back for the artist’s drawing hands. The intricately gathered color lines take after the background for a while. Seeing is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resemblances amidst the world’s myriad of colors. It is also discerning differences among the colors innate in every scene. While keeping in mind the repetition of extracting different spectrums of light with novel perspective, I gauge the artist’s gaze that delves into the depths of the mist’s intentions. 

 

The Inter-rim (2023) series’s picture screens present a repetition of gradually curved lines. The round arc induces the viewer to envision the immense gravitational force of an invisible celestial star. The shape and form of the assigned ruler per canvas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wavelength. The lines either push the haze downwards or pull it upwards within the picture screen and fine-tunes the height of vertical waves. The light imbued upon the imagined gravity field takes the form of pigments and settles on the picture screen. Specks of color coalesce to form lines, then turn into a misty haze. 

 

The individual picture screens adorned with the same light evoke the overlapping of two perspectives on a single subject. Observing the dense halftone dots in the background, I imagine the hidden fragments of the lines. From the intricate lines in the foreground, I think of the nebulae of stars in the cosmos. Depending on the focal point, the mist transforms into the microcosm of lines, while the lines transform into the macroscopic scene of mist. The lines in various sizes diversely engage with one another, each creating unique picture screens. 

 

Looking at Lines

 

The movement from point to line signifies the initiation of drawing. JI Keun Wook ceaselessly focuses on this first step forward and fills in the picture screen. The lines imply the artist’s repetitive asceticism while inducing the viewer to compare the subtle differences – an exercise to alter the perception of seeing. This is Ji’s way of resonating with the unfamiliar world by contemplating the gravity upon his picture screen and the volume of the apparition. 

 

In the Inter-wave (2023) series, the lines sinuate like waves. The gravitational forces at effect within the painting’s time and space push and pull against each other as if in a quarrel. A smear emerges at every place where curves touch with the haze, an illusion as a novel apparition, neither belonging to both elements. The encounter between a being with another gives birth to a third existence, the relational aspect. The picture screen reveals a different visual world each time,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distance. The structure underneath becomes increasingly hazy as one approaches the picture screen, growing sharper as one recedes further away. 

 

The paintings, composed of multiple canvases, are installed at a consistent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waves connect with consideration of the blanks between the canvases. The gaze following the lines pauses at the blank spaces revealing the wall, distributing the viewer’s senses across several intervals. Filling these empty spaces is the atmosphere of reality. With its inherent materiality, the painting inevitably resides in the spacetime of the present location, transforming the white walls in the exhibition space into a more distinctive void. White noises with various sentiments permeate at each point where the flowing waves break, like moments that endlessly evaporate in the blink of an eye, like sensations that penetrate these ephemeral instants. 

 

Facing the Picture Screens 

 

Paintings are seen slightl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space it occupies. The experience of viewing alters not on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 work is installed but also by the shape and size of the canvas itself. The individual picture screens in the Inter-shape (2023) series tightly weav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raight lines, evoking tension. This attempt to break away from the standardized rectangular frame evident in the diverse variations of canvas shapes is remarkable. 

 

The canvases deviating from the usual shape propose a different way of seeing. Inter-shape (Radiation) (2023) comprises fifteen canvases combined into a united form. Some edges of each canvas were partially curved to fit into the elliptical silhouette and arranged accordingly. The course of the gaze toward the picture screen fluctuates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edges arched to different extents. While the curves drawn on rectangular picture screens allow the perception of internal oscillation, the straight lines drawn on rounded canvases encourage the viewer to imagine the rhyth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pace and the painting itself. 

 

In Inter-shape (Collider) (2023), sixteen trapezoidal canvases form a larger octagon shape. Each canvas becomes a part of a larger figure by being placed in its appointed position. The whole always encompasses possibilities beyond the mere sum of its parts. The force of the relationship generated when the first existence meets the second always awakens the novel dynamism beyond the inherent identity of each individual entity. An octagon-shaped void emerges anew in the center of the octagonal structure formed by the canvases. The unfamiliar-shaped canvases create unusual blanks on the wall outside of the painting. The elongated voids between the canvases prompt tacit lines on the spacetime of reality. 


 

The painting, worked on in a horizontal plane while bending down on the floor, constantly contemplates the vertical wall to which it is destined to ascend. This is a conscious shift of the gaze, concentrated within the inner world, towards the external world. The painting’s body uniquely and intimately interacts with the body that observes it. I closely examine the colors of emotions densely imbued in the lines in the strenuous journey of painting – the warmth of the colored pencil residue left in the places where the linear and direct gestures passed, the tenacious time embodied in a hand-drawn painting. I suddenly tune into the reverberations in the world of resiliently billowing lines. The mind sometimes sways; it sometimes subsides.  

 

Translated by Cho Yoonsu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