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 KEUN WOOK
지근욱 작가와의 대담
박미란, 지근욱, 2023
박미란(이하 박): 색연필로 선을 긋는 작업을 시작한 계기가 궁금합니다. 더불어 작업 도구로서 줄곧 색연필을 선택하는 이유를 묻고 싶어요.
지근욱(이하 지): 물질의 근원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에서 다루는 이미지와 정보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유년 시절부터 우주에 관한 호기심을 남다르게 갖고 있었어요. 특히 입자물리학에서 더 작은 소립자를 발견하고자 하는 시도가 창작과 감상의 행위 가운데서 미지의 진리를 탐구하는 미술의 고민과 닮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유학 초기, 관련한 생각들을 발전시키던 차에 한국에서 들고 온 다색 색연필이 눈에 띄었어요. 판화 작업에 서명을 색연필로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챙겨왔던 것이었습니다. 미세한 안료 가루를 단단히 뭉쳐 만든 색연필이 화면에 닿아 부서지며 만든 작은 입자 같은 흔적이 이미지의 최소단위나 최초의 형태에 가깝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긋는 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드러나는 질감도 흥미로웠습니다. 이후 그림의 일부였던 색연필의 영역이 화면 전체로 뻗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과학의 세계에서 세상은 수식으로 명료하게 설명되는 것 같아요. 매우 복잡한 알고리듬으로 구축된 하나의 커다란 기계처럼요. 다만 그 세상을 직접 살아가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사소한 일상에 의미를 두게 됩니다. 유기적인 선택에 의해서 생겨나는 관계들, 매일의 시간과 공간들에 집중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거예요. 기계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무척 사람다운 그림을 그리고자 했어요. 색연필과 자를 함께 사용한다는 것도 스스로 중요하게 여기는 점입니다. 도식화된 틀에 기대어 긋는 선들이 역설적으로 완벽하게 기계적일 수 없는 사람의 행위를 강조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화면 위의 선은 그리는 행위의 흔적과 과정을 고스란히 노출합니다. 그것을 보는 사람들에게 특정 서사가 아닌 선 자체의 시각 정보를 전달하고, 그로부터 비롯되는 감각적 자극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색의 온도와 선이 일렁이는 착시, 화면 자체의 규모나 모양이 주는 인상, 직관적 정서에 주목하면서 작품을 폭넓게 해석하기를 바랍니다. 바라보는 거리에 따라 선의 방향성에 주목할 수도 있고 선을 구성하는 가루들의 흔적을 추적할 수도 있어요. 보는 사람의 선택에 의해 무엇이든 될 수 있는 화면을 만들고 싶습니다.
박: 그간 선보인 개인전 제목들이 작업을 대하는 자신의 관점 변화를 보여주는 것 같아 흥미로웠어요. 이번 전시에 ‘하드보일드 브리즈’라는 제목을 붙였는데요. 출품작들을 관통하는 관심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지: 한눈에 기계적이고 무정한 화면 같지만, 면밀하게 관찰하면 무엇보다 유기적이고 세심한 면모를 품고 있는 제 작업의 양가성을 드러내는 제목을 붙이고자 했습니다. 우리 주위의 사물들은 마치 정지해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원자 단위 물질들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운동성에 의하여 존재하는 것들이잖아요. 세상 속에서 멈추지 않고 유동하는 입자들의 리듬을 생각했어요. 단단하고 올곧은 선들은 작은 안료 부스러기의 집합이며, 그 각각이 빛과 맺는 관계에 의해 색으로서 목격됩니다. 정지한 선분 안에서, 입자들이 바람 불듯 율동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는 과정을 연상했습니다.
하나의 대상이 지닌 여러 가지 면모, 눈에 띄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또 다른 모습들을 상상했어요. 어느새 와이파이가 벽을 투과하는 사실이 당연하게 여겨져요. 원소 주기율표처럼 진리라고 믿어온 과학 지식들이 나날이 갱신되는 모습도 보게 됩니다. 미처 몰랐던 우리 세계의 가능성이 계속 밝혀지는 거예요. 어떠한 형상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비가시적 세계를 상상하면서 화면에 여러 층위를 더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서로 투과하는 세계’이자 ‘상반된 세계 사이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화면 위에 중첩된 안개와 선의 관계, 각 화면 사이의 관계, 나아가 회화와 현실 장소의 관계에 대해 생각할 여지를 만들 수 있다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박: 근작에서 화면 구성과 재료의 변화가 돋보입니다. 언급해 주신 것처럼, 화면의 층위를 둘 이상 중첩하여 평면의 깊이를 상상하도록 유도하는 점이 새롭습니다. 이러한 시도 뒤에 어떤 고민들이 있었는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요.
지: 평면에 약간의 두께를 덧입혀 보고자 했습니다. 그간 유난히 매끈한 표면을 고수해온 데에는 판화를 전공한 이력이 영향을 끼쳤어요. 판화 기법을 회화 화면에 자주 도입하기도 했고요. 기계적 공정을 사람의 손으로 거듭 수행한다는 점에서 판화의 요소가 작업에 잘 어우러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화면에 심도를 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어요. 반듯한 평면이 만들어낼 수 있는 여러 가능성에 대해서요. 앞선 작업에서 수평 화면 위의 착시에 보다 집중했다면 이제는 수직적으로 파고드는 깊이를 탐구해 볼 때라고 생각했습니다.
화면 아래의 안개 같은 색면은 지난해 박석민 작가와 함께 진행했던 2인전 《라그랑주 포인트》에서 처음 시도해 본 것입니다. 망점으로 구성된 배경의 구현을 원했기 때문에, 색면들이 붓질에 뭉개지도록 하는 대신 실크스크린과 디지털 프린트 등 판화 기법을 활용했습니다. 안개와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복잡다단한 세계의 관계망을 투영해 보았습니다. 전시에 선보이는 근작 중 일부는 안개 위에 선을 긋고, 그 위에 반투명한 미디엄을 한 층 덧입혀 완성했습니다. 선의 배열만으로는 표현하기 부족했던 심도를 만들고, 그렇게 마련된 다층의 세계들 사이 관계성을 고찰하고자 한 시도입니다. 바라보는 거리에 따라서 풍부한 시각 경험을 이끌어낼 수 있기를 바랐어요.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이나 성운 같은 것들에 대해서 생각했습니다. 시야에 담긴 달은 매끈한 원으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표면에 크레이터가 무수히 많은 찌그러진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먼지와 가스 등 비물질에 가까운 요소로 이루어진 성운을 몇 광년 멀리에서 관측하면 마치 부피를 지닌 특정한 형태처럼 보입니다. 거리 혹은 초점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목격되는 대상의 기저와 외형들에 대해 고민했어요. 화면 속 망점이 모여 만드는 면, 그리고 그 위를 지나가는 선들의 무수한 교차점이 이러한 상상을 가속화하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박: 세 가지 연작을 학고재 신관의 세 개 층에 나누어 선보입니다. 각각의 연작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지: 신관 1층에서 선보이는 <임시의 테 Inter-rim>(2023) 연작은 안개 같은 색채 위에 호 모양의 선이 교차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극지방 오로라의 산발하는 빛들과 유성이 떨어지는 궤적에서 보이는 곡선을 레퍼런스 삼았습니다. 안개의 층과 선의 층이 유사한 방향성을 띠고 나아가면서 하나의 하늘처럼 어우러지는 모습이에요. 두 세계 간 연결성이 특히 강조되는 듯합니다. 선분의 색채를 선택할 때 배경의 색조를 끊임없이 의식하게 되는 점이 흥미로웠어요. 둥근 테의 확장성을 생각하면서 작품 제목을 붙였습니다.
지하 1층에 전시된 <상호-파동 Inter-wave>(2023)은 상승과 하강의 움직임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곡선들로 채웠어요. 이 연작에서는 안개의 층과 선분의 층이 상반된 사선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방향성의 설정은 자신에게도 매번 실험적인 시도인데, 결과물이 어떤 시각적 효과를 낼지 정확히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완성된 화면 속 안개와 선이 서로 맞닿는 지점에서 관계 맺으며 시야의 번짐을 만들어내는 점이 흥미롭다고 여겼습니다.
지하 2층의 <교차-형태 Inter-shape>(2023)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두 층위를 교차시켰습니다. 수평의 안개를 수직의 직선이 가로지르는 모습입니다. 중첩된 이미지가 격자 구조를 이루는데, 그 닫힌 구조의 폐쇄성을 시각적으로 파괴하면서 또 다른 확장성을 이끌어내고 싶었어요. 이 연작에서는 캔버스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하고, 또 변형된 캔버스들을 모아서 새로운 형태를 조합해 내는 실험에 집중했습니다. 화면 내부의 이미지들이 바깥의 건축 공간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 맺도록 유도하고자 했습니다.
박: 매체나 재료, 방법론 등에 있어 앞으로 새롭게 탐구해 보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지: 바탕을 이루는 색면이 생겨나니 빈 캔버스 위에 직접 선을 그을 때와 다른 변수가 일어났습니다. 때로 배경 색과 색연필 선이 뒤엉켜 정리하는 후작업이 필요했어요. 반면 그러한 얽힘이 그로써 유효한 효과를 이끌어내기도 했습니다. 색을 지닌 망점들 외에 또 다른 노이즈를 바닥 면이나 가장 위층의 표면에 더하는 실험을 해 보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캔버스 형태를 변형하면서 나타나는 낯선 윤곽선들을 적극적으로 탐구해 보고 싶어요. 화면 안에 나열된 선들의 리듬을 화면 바깥 세계와 관계 맺도록 하면서, 작품을 대하는 관점을 다른 방식으로 환기시켜 주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 강박적이라고 느낄 만큼 완벽하고 매끈한 표면 마감을 위해 애쓰는 편인데, 때에 따라 그러한 습관을 흐트러뜨릴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계속해서 과정적이고 싶습니다. 때문에 나아갈 방향을 성급하게 규정하지는 않으려 해요. 다만 지금의 표현에 머무르지 않고 매체 실험을 거듭하면서, 작업의 바탕이 되는 양자적 세계관과 노동의 몸짓이 자신과 타인, 나아가 세상을 연결 짓는 관계망으로서 역할하고, 진화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A Dialogue with JI Keun Wook
Park Miran, Ji Keunwook, 2023
Miran Pa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k): I am curious about the motivation behind your work. How did you start drawing lines with colored pencils and why do you consistently choose them as your medium?
JI Keun Wo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Ji):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images and the information explored in the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on the origins of matter. From an early age, I have had a unique curiosity about the universe. I thought that the pursuit of discovering elementary particles in particle physics resembles the artistic contemplation and exploration of unknown truths within the acts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As I was developing these thoughts when I just started studying abroad, I came across colored pencils that I had brought from Korea. I considered signing my printmaking works with colored pencils and decided to bring them along. The colored pencils, with their fine pigment particles tightly bound together, would leave traces resembling small particles when applied to the surface. This gave me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the minimum unit of an image or closest to the fundamental form. I was also intrigued by their unstable properties with great variability as it is vulnerable to the intensity of force applied. Afterward, colored pencils’ territory, which was initially a small part of my drawings, began to expand and cover the entire picture screen.
In the world of science, it seems that everything is explained clearly through equations. It appears as if the world is constructed like a massive machine with highly complex algorithm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living in that world, we tend to find meaning in the trivial everyday aspects of life. We rather focus on the relationships that emerge through organic choices and on the daily moments of time and space. Although it may appear mechanical, I wanted to create a humane image. The use of a ruler with colored pencils is also something I consider to be important. I believe that the lines drawn, relying on schematic frameworks, paradoxically emphasize the inherently imperfect nature of human actions that cannot be perfectly mechanical.
The lines on the canvas expose traces and processes of the act of drawing. They convey visual information of the lines themselves to the viewers, rather than presenting a specific narrative. The focus is on the sensory stimulation that arises from the lines. Paying attention to the temperature of colors, the optical illusion created by the undulating lines, and the impressions conveyed by the scale and shape of the canvas itself, I hope that the viewers broadly interpret the artwork based on their intuitive emotions. Depending on the distance, one can pay attention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lines or track down the traces of the particles that make up the lines. I wish to create a canvas that can become anything based on the viewer's interpretation.
Park: I found it interesting how the titles of your previous solo exhibitions reflected changes in your perspective toward your work. For this exhibition, you have titled it Hardboiled Breeze. What is the underlying theme that permeates the exhibited pieces?
Ji: I chose the title Hardboiled Breeze to capture the ambivalence of my artwork, which may initially appear mechanical and cold but, upon closer observation, reveals its organic and meticulous qualities. The objects around us may seem stationary, but, in reality, they exist through the constant motion of atomic particles. I thought about the rhythmic movement of particles that continuously flow in our world. The solid and upright lines are composed of tiny fragments of pigment, with each of these fragments manifesting as color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light. Within the stillness of the lines, I envisioned the particles oscillating like the wind, revealing themselves to us.
I imagined the various facets of a certain thing, the unseen yet distinctly present aspects that often go unnoticed. The fact that Wi-Fi penetrates through walls has become a natural assumption. We also witness how scientific knowledge, once believed to be a single truth like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is constantly evolving. The possibilities of our world, which we were previously unaware of, continue to be revealed. I tried adding multiple layers to the canvas while imagining the invisible world that resides within a particular form. This exhibition can be seen as a narrative of "interpenetrating worl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asting worlds." Through this show, I hope to create room for contemplation about these relationships and provoke thought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mist and lines overlapped within the canvas, the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screens, and ev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s and real-life spaces.
Park: I have noticed that there are some changes in composition and your choice of artistic mediums. What you have mentioned, overlapping multiple layers on a canvas to evoke a sense of depth, is intriguing too. I would like to learn more about your thoughts behind these artistic endeavors.
Ji: I wanted to add a slight thickness to the picture screen. My background in printmaking has influenced my inclination toward maintaining a smooth surface. I have often incorporated printmaking techniques into my painting process. I believe that the printmaking elements blend well with my practice, as they involve mechanical processes performed by human hands. I tried to find ways to add depth to a canvas, while maintaining these characteristics. It was about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that a flat surface could offer. While my previous works were more about creating optical illusions on a horizontal picture screen, I felt that it is tim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depth that extends vertically.
The mist-like color field underneath the canvas was first explored for the joint exhibition Lagrangian Point with artist Seokmin Park last year. I strived to create a representation of a world composed of halftone dot patterns. To achieve this, I utilized printmaking techniques such as silkscreen and digital printing instead of allowing the particles to blend through brushstrokes. We projected the intricate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in the complex world onto the intersecting points of the mist's halftone dot patterns and lines. Some of the recent works presented in Hardboiled Breeze were completed by drawing lines over the mist and adding an additional layer of translucent medium on top. This was done to create depth that could not be fully express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lines alone and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ulti-layered worlds thus created. The intention was to create a visually immersive experience that offers a rich variety depending on the viewing distance.
I thought about objects like the moon or nebulae seen from Earth. The moon,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appears as a smooth circle, but through a telescope, we can observe its surface covered in countless craters, creating a distorted and uneven form. Similarly, when we observe nebulae composed of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dust or gas from several light years away, they appear to take on specific shapes with volume. I pondered on the underlying structures and appearances of objects that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stance or focal point. The plane created by gathering of dots and the multitude of intersections made by the lines traversing this plane serve as elements that accelerate these imaginings.
Park: You are presenting three painting series on three different levels of Hakgojae Gallery’s Space 2. Could you give us an introduction about each series?
Ji: The series titled Inter-rim (2023), exhibited on the ground floor, presents scenes where curved lines intersect on a mist-like color field. The references for this series were the shimmering lights of the polar auroras and the curves seen in the trajectories of falling meteors. The layers of mist and lines show a similar directionality as they blend like the sky.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se two worlds is particularly emphasized. It was amusing to notice that I was always conscious of the background color when selecting colors for the lines. I chose this title, thinking about the expansiveness of the circular frame.
The series displayed on the first basement floor, titled Inter-wave (2023), is filled with curves that distinctly manifest the movements of ascent and descent. In this series, the layers of mist and lines intersect in diagonally opposite directions. Setting this type of directionality was a challenge for me, a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exact visual effects that the outcome will produce. I found it intriguing how the completed screen creates blurriness in the viewer's vision where the mist and lines meet and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Inter-shape (2023) series, displayed on the second basement floor, I actively intersected the two layers. It presents the image of vertical lines crossing the horizontal mist. The overlapping images form a grid structure, and I aimed to visually disrupt the closedness of this structure while eliciting a sense of expansion. In this series, I focused on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canvas in various ways and combining the modified canvases to create new forms. I intended to let the images within the picture screen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architectural space in various ways, creating dynamic interactions and connections between them.
Park: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explore in terms of medium, material, or methodology in the future?
Ji: Using a colored background causes different variables compared to directly drawing lines on a blank canvas. At times, the background color and lines intertwine, necessitating finishing work to tidy them up. However, such entanglement also brings about effective outcomes. I have plans to experiment with adding what I would call noise, to either the surface of the top or the bottom, as well as the halftone dot patterns with colors. On the other hand, I would also like to explore the unfamiliar contours that emerg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shape of a canvas.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rhythm of the lines within the work and the external world leads to a different perspective in approaching art. I tend to strive for a perfectly smooth surface to the extent that I feel it becomes obsessive. However, I somehow feel the need to break such obsessive habits. I would like to maintain a process-oriented approach. Therefore, I try not to hastily determine to which direction I should take. I will, instead, continue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mediums, refusing to settle for the current expression. I hope that the quantum worldview and the gestures of labor, which underpin my work, can serve as a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myself, others, and the world, and continue to evolve.
Translated by Park Solah